음악저작권자 2만명 시대에 접어들었다

(사)한국음악저작권협가 2만 번째 등록 축하행사 가져

서영섭 기자 | 기사입력 2015/04/10 [20:16]

음악저작권자 2만명 시대에 접어들었다

(사)한국음악저작권협가 2만 번째 등록 축하행사 가져

서영섭 기자 | 입력 : 2015/04/10 [20:16]

▲지난 4월8일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 2만번째로 가입한 회원들과 윤명선 회장과 기념촬영    © 뉴민주신문
세계 시장을 상대로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는 K-POP, K-POP의 원동력이자 국가의 신성장동력이라 불리는 문화컨텐츠 중 음악을 창작해 내는 음악저작권자가 2만명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사단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회장 윤명선, 이하 한음저협)가 오는 4월 8일 협회 접견실에서 2만 번째로 가입한 박용희 회원(인디밴드 앰플로드 리더)과 더불어 김도훈, 윤일상, 조PD, 홍진영 등 국내 유명 작가들과 함께 축하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한음저협의 2만번째 회원의 가입은 한국음악시장이 규모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어냈고, '음악가'에 대한 대중의 시선은 부와 명예를 선사하는 최상의 '직업'이자 선망의 대상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막상 음악가의 길로 들어서며, 열정, 재능, 성실이 음악가로서 부를 창출해 줄 것이란 믿음은 현실의 벽에 부딪혀 부서지기 쉽다. 우리 사회가 예술가들의 재능을 인정하고 받아줄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고, 최상위의 음악가가 되기 위한 그 경쟁 역시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사)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2만번째 가입한 회원과에게 윤명선 회장이 가입증을 수여했다    © 뉴민주신문
음악저작권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 국내의 경우 작년에 약 1천2백억원을 징수해 음악저작권자들에게 분배를 해주었으나,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 음악 저작권료로 약 1조 2천억원을 징수해 분배를 해준 것에 비하면 아직까지 국내 저작권시장은 음악의 영향력과 경제력에 비해 미비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 또한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고 있어 국내 예술가들이 최저 생계비 수준의 수익이 보장되어야 된다는 등 음악저작권자들의 처우개선이 시급하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뿐만아니라, 음원유통시장 불합리한의 수익분배 구조 또한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중에 하나로, 저작자들의 합리적인 음원수익을 보장하겠다는 취지로 설립된 ‘바름음원유통협동조합(이하 바음협)’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신대철씨의 경우 지난 국회공청회에서 한국의 음원시장은 음악을 창작한 저작자 보다 음악서비스 업체등의 사업자들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수익을 가져가는 기형적인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대로 가다가는 한국의 음악가 들은 다 죽는다’는 절규어린 발언을 할 정도로 그 문제는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한음저협 윤명선 회장은 “이제는 예전에 비해 그 위상이 달라진 ‘성공한 음악가’를 목표로 한 많은 이들의 도전이 더욱 늘어나서, K-POP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단단한 토양을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협회의 회원이 2만명을 넘어섰다는 사실에 감개가 무량하다. 하지만 이제는 ’음악‘의 결과물인 저작물 자체도 중요하지만, 불합리한 수익 구조나 음악시작의 성장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대다수의 음악가(뮤지션)에 대해서 생각해야 할 때다”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